Editor's Note

배진석 경상국립대 교수는 민주화 시기에 청년기를 보낸 ‘86세대’가 과연 진보적인 세대 정체성을 갖고 있는 동질적인 집단인지를 질문합니다. 1992년부터 2022년까지의 대선 투표 선택을 분석한 결과, 86세대의 투표 선택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세대적 정체성이 아닌 이념 인식, 대통령 직무 평가, 대북 정책 등의 정책 선호에 대한 차이였다고 강조합니다. 아울러, 유권자의 연령이 이념 성향을 결정한다는 연령 효과(aging effect)와 세대의 특별한 정치적 특성인 세대 효과(cohort effect)가 86세대에게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설명합니다.

1. 서론

 

이 글의 목적은 2022년 대통령 선거를 포함해 역대 대통령 선거에서 나타난 이른바 ‘86세대’의 투표행위와 이념성향의 정치적 특성을 규명하는 것이다. ‘86세대’는 한국 민주주의의 대명사로 인식되어 왔다. 이들은 60년대에 태어나 80년대라는 민주화 시기에 청년 시기를 보내면서 정치적 정체성을 획득했다. 30대였던 2002년 대통령 선거 즈음에 이들이 보여주었던 ‘진보성’은 대중에게 깊은 인상을 남겼다(강원택 2003; 이내영 2002). 늘 그랬던 것만은 아니다. 2007년 대선 이후에는 ‘86세대의 실종’이 회자되기도 했다(강원택 2009; 박명호 2009; 노환희 외 2013). 이들이 과연 동질적인 집단인가, 이념적으로 또는 정치적으로 ‘진보적’인가에 대한 논란은 계속됐다. ‘진보적’이었다가 ‘보수화’되었는가, 아니면 애초부터 ‘진보적’이지 않았는가 하는 문제도 여전히 논쟁적이다.

 

선거연구에서 세대투표와 관련해 연령 효과(aging effect)와 세대 효과(cohort effect)는 여전히 경쟁 중인 이론이다. 젊은 유권자가 진보적 성향을 보이고, 나이든 유권자가 보수적 성향을 보이는 것은 매우 일반적인 현상으로서 연령 효과로 통칭된다(Feather, 1977; Barnes 1989; Alwin and Krosnick, 1991; Van Hiel and Brebels, 2011). 나이 든 세대가 보수 정당을 지지하는 것은 통설이다. 권위와 질서에 대한 애착은 보수적 가치와 맞닿아 있기 때문이다. 기성 권위를 거부했던 사람들도 대체로 다르지 않다. 소득이 증가하고 사회적 위치가 안정화되면 보수화를 피하기 힘들다는 것이다.

 

이에 반해 세대 효과는 이런 연령 효과에 적용되지 않는 현상을 지칭한다. 특정 세대가 연령 효과로부터 이탈할 때 이 세대의 특별한 정치적 특성을 세대 효과라 부른다. 그 세대의 특수한 사회화 경험으로 형성된 정치적 성향이 일반적인 연령 효과와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이다(Mannheim 1952; Abramson 1975). 청년 시기에도 보수적이거나 나이 들어서도 진보적 성향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가 대표적인 세대 효과의 사례라고 할 수 있다. ‘86세대’는 연령 효과를 부정할 수 있는 세대로 기대를 받아왔다. 나이 들면서 보수화되는 경향이 이 세대에게 적용되지 않을 수도 있다는 기대였다. 이들이 한국 민주화 시기를 청년 시기에 경험하고 획득한 정체성은 연령 효과와 달리 나이 들면서도 유지된다는 것이다. 이른바 ‘코호트(cohort)’ 효과이다. 미국의 뉴딜 세대처럼 말이다.

 

‘86세대’로 통칭되어 온 1960년대생과 2022년 대통령 선거는 이와 관련해 두 가지 점에서 특별하다. 첫째, 1960년대생은 한국 선거 정치에서 연령 효과와 세대 효과를 경험적 자료로 검증할 수 있는 유일한 세대이다(배진석 2017). 일단 그 이전 세대인 1940년대생과 1950년대생의 청년기와 중장년기의 개인별 투표 성향을 통시적으로 비교 분석할 수 있는 여론조사 자료가 없다. 대선 관련 여론조사가 처음으로 실시된 시기가 1992년 대선 때부터이기 때문이다. 1992년 대선 때 1940년대생은 이미 40대 중반과 50대 초반에 들어섰고, 1950년대생은 30대 중반과 40대 초반에 들어섰다. 다시 말해 이들의 20대와 30대 시기의 투표 성향을 경험적으로 확인할 방법이 없다. 둘째, 2022년 대통령 선거는 이들 1960년대생이 모두 완전히 50대로 진입한 첫 번째 선거이다. 주지하다시피 세대투표 관련 생애주기에서 50대의 상징적 의미는 특별하다(Truett, 1993; 허석재 2014). 청년 시기에 진보적이었던 유권자들도 50대에 접어들면서 대부분 보수적 태도로 변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50대는 세대 연구에서 보수화의 분기점이다. 1960년대생 이후 세대는 2022년 대선 현재까지 아직 50대를 경험하지 못했다. 가령 1970년대생이 진보적인 투표 성향을 보인다고 해서 이를 세대 효과라 칭할 수는 없다. 만약 1960년대생이 50대 이전에 진보적인 투표 성향을 나타냈다고 가정하고 이를 세대 효과 관점에서 접근했다면, 이 역시 때 이른 진단이라고 할 수밖에 없다. 아직 50대에 도달하지 못한 1960년대생을 대상으로 세대 효과를 논한 것은 시기상조였기 때문이다.

 

이 글은 2022년 대선 결과에서 나타난 세대 요인을 검토하고, 민주화 이후 역대 대선에서 확인되는 세대별 투표 선택 및 이념 성향 변화의 폭과 속도를 경험적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세대 효과 관점에서 1960년대생의 투표 선택과 이념 성향 변화에 주목해 그 이전 세대와 이후 세대를 비교하되, 세대 간 차이 못지않게 세대 내에서 확인되는 차이에도 주목할 예정이다. 이 글의 제2장은 관련되는 선행 연구의 성과와 한계를 검토하고, 제3장은 분석 방법을 소개한다. 집합적 자료와 개인별 수준의 여론조사 자료를 활용해 제4장은 2022년 대선을, 그리고 제5장은 1992년-2022년 대선을 대상으로 연구 질문에 대한 답을 모색한다. 제6장은 결론과 이론적 함의를 다룬다.

 

2. 선행 연구 검토

 

나이 혹은 세대와 관련된 한국의 선거연구는 주로 세대 효과에 집중되어왔다. 정진민(1992, 1994) 등의 선구적 연구 이후에 세대 효과가 선거 연구에서 본격적인 관심 대상이 된 계기는 2002년 대선에서 주목을 받은 “386세대”의 정치적 역할 때문이었다(강원택 2003; 이내영 2002). 20대에 민주화를 경험한 세대로서 이들의 진보적 성향은 주목할 만한 대상이었다. 2007년 대선에서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가 중장년 세대와 청년 세대로부터 골고루 지지를 받으면서 386의 세대 효과에 의문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2012년 대선에서 박근혜 후보와 문재인 후보 간의 대조적인 세대 간 지지율 차이로 세대 투표에 대한 학계의 관심은 재개되었다(노환희 외 2013; 허석재 2014; 오세재/이현우 2014; 오세재 2015; 문우진 2016).

 

1960년대생의 정치 성향 및 투표 행위는 크게 두 가지 관점으로 대별되었다. 연령 효과를 강조하는 입장은 이들의 보수화에 주목했지만, 세대 효과를 주장하는 입장은 1960년대생이 보이는 진보성에 관심을 보였다. 이명박 대통령이 압도적으로 승리한 2007년 17대 대선은 이른바 “386 세대 효과”가 소멸되었다는 연구들을 양산했다(서현진 2008; 강원택 2009; 박명호 2009; 박원호 2012; 허석재 2014). 1960년대생이 포함된 청장년층의 상당수가 보수 정치인인 이명박 후보를 지지했기 때문이다. 2012년 18대 대선에서도 “386세대”가 주목받았다(노환희 외 2013). 이번에는 “386세대”에서 일관된 진보적 특성이 발견된다는 것이었다. 진보 후보에 대한 투표 선택, 그리고 주관적 이념 평가에서 확인되는 진보성 등이 그 근거였다. 조건부적 “386세대 효과”도 관심을 받았다(황아란 2009; 오세제/이현우 2014; 오세재 2015).

 

본 연구는 기존 연구가 1960년대생의 진보적 정치 성향 여부를 세대 효과 관점으로 접근했던 것이 적절했는지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생애주기 관점에서 아직 50대에 이르지도 못한 1960년대생들의 진보적 정치 성향을 세대 효과로 파악하는 것은 시기상조였기 때문이다(배진석 2017). 상당수의 1960년대생들이 50대에 접어든 2017년 대선과 1960년대생들이 완전히 50대로 진입한 2022년 대선이 돼야 비로소 1960년대생들의 세대 효과를 논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들이 보수화의 분기점이라고 할 수 있는 50대에 모두 완전히 진입한 이번 대선은 1960년대생들이 이전 세대와 마찬가지로 보수화의 길로 접어든 것인지(연령 효과), 혹은 이들의 고유한 세대적 정치 성향을 유지하고 있는지를(세대 효과) 검증할 수 있는 좋은 기회이다.

 

또 하나의 쟁점은 세대 구분이다. 세대 효과는 특정 세대가 자신들의 사회화 시기에 경험한 특수한 정치적 상황이 이들의 정치적 성향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전제로 한다. 문제는 이 ‘세대’를 어떻게 구분할 것인가 하는 점이다. 한국 선거 연구에서 세대 구분의 기준은 여전히 논쟁적이다. 초기 연구의 구분은 전전 세대(~1949), 민주 세대(1950~1961), 신세대(1962~1970) 등으로 시작했다(정진민 1992, 1994; 정진민 황아란 1999). 후속 연구들은 좀 더 세분화된 분류를 발전시켰다. 산업화 세대 (~1959), 386세대(1960 혹은 1962~1969 혹은 1970), X 세대/IMF 세대/디지털 세대 등이 주로 논의되었다 (김형준 2006; Cho and Eom 2012; 노환희 외 2013; 이우진 2013; 허석재 2014; 오세제 2015). 세대 효과는 단순히 생물학적인 연대로 구분될 수 없다. 이들의 사회화 시기에 영향을 미친 정치적 상황이 중요하기 때문이다(오세제 2015). 그럼에도 불구하고 1960년대생은 대체로 독립적 세대로 구분되고 있다. 특히 1960년대생들이 한국 선거 역사에서 20대 때의 정치적 성향이 보수화의 분기점인 50대까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관찰할 수 있는 유일한 세대라는 점을 감안하면 이 구분은 설득력을 갖는다.

 

3. 분석 방법

 

이 글은 집합 자료 및 개인별 여론조사 자료를 활용해 4장에서는 2022년 대선 결과를, 그리고 5장에서는 1992년부터 2022년까지 대선 별 여론조사 자료를 결합해(pooling)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1992년 14대 대선부터 2022년 20대 대선까지 30년간 5년마다 같은 간격으로 실시된 대선 사후 면접 조사 자료이다. 14대-16대 대선 자료는 한국사회과학데이터센터(KSDC)가 실시한 면접 조사 자료이고, 17대-20대 대선 자료는 동아시아연구원(EAI) 대선 패널 조사 자료이다.

 

① 집합 자료

 

기존 연구의 집합 자료 분석은 선거별 기간 효과에 대한 통제가 부족했다. 진보적 성향이 두드러졌던 2002년 16대 대선과 보수적 성향이 두드러졌던 2007년 17대 대선은 큰 차이가 있다. 따라서 보수 혹은 진보 후보 지지율을 단순 비교할 경우 무리가 생길 수밖에 없다. 특정 선거별 이념 지형과 선거 동원 전략 등에 따라 나타날 수 있는 기간 효과(period effect)가 분석에서 제대로 반영되지 못했다는 의미이다. 투표 선호에 관한 세대 간 상대적 위치를 비교한 노환희 외(2013) 연구의 접근법은 주목할 만하다.

 

이런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이 연구에서 집합 자료는 보수 우세율, 평균 중심화, 그리고 생애주기 비교 전략을 활용해 분석한다. 첫째, 보수 우세율은 보수 지지율에서 진보 지지율을 제한 값을 사용한다. 보수 지지율 혹은 진보 지지율을 단순 비교할 경우 두 집단 간의 세력 관계를 제대로 파악하기 힘들다는 점을 고려했다. 특히 보수 혹은 진보 단순 지지율은 선거가 양자구도로 치러지는지 다자구도로 치러지는지에 따라 크게 차이를 보일 수 있기에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1] 보수 우세율을 사용할 경우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둘째, 선거 별 기간 효과를 통제할 목적으로 평균 중심화(mean centering) 기법을 사용한다. 선거별 유권자들이 이념 지형이 크게 변화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매 선거 시기의 평균값에서 세대별 평균을 제하는 방식으로 세대 간 투표 행위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한다. 셋째, 생애주기를 축으로 삼아 세대별 이념 및 투표 성향을 비교한다. 대선 별 비교가 아니라, 각 세대의 생애주기별 정치적 특성을 비교하는 것이다. 10년 단위의 주기를 가로축으로 삼아 세대별 정치 이념의 변화 폭과 속도를 비교 분석할 것이다.

 

② 개인별 여론조사 자료

 

이 연구는 연령 변수를 통제하더라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타나는 것이 세대 효과라는 선행 연구의 주장(허석재 2014)에 동의한다. 다만 이를 측정하기 위해서 연령 변수와 세대 변수를 회귀식에 동시에 포함할 경우 다중공선성(multicollinearity) 문제를 피할 수 없다.[2]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 연구는 회귀식 내에 연령효과와 세대효과를 구분하는 전략을 활용한다. 연령 변수와 세대 변수를 동시에 포함시키되, 모든 세대 변수를 한꺼번에 포함시키는 것이 아니라 각각 포함시켜 별도의 회귀식을 구성한다. 이 방법은 다중공선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점에서 큰 장점을 가지지만, 세대 더미 변수의 해석에 주의를 필요로 한다.[3]

 

2022년 대선에서 투표 선택으로 사용되는 기본 종속 변수는 보수 후보 지지 여부이다. 보수 후보를 지지하면 1, 그렇지 않으면 0으로 코딩된다. 2022년 대선에서 진보 후보는 이재명, 심상정 후보를, 보수 후보는 윤석열 후보를 포함한다. 주요 관심 독립 변수는 연령과 세대이다. 연령은 응답자의 만 나이를 기준으로 하거나, 경우에 따라 20대, 30대 등으로 10년 단위 구분법을 사용했다. 분석에 포함된 통제 변수는 이념(서열 변수), 교육 수준(서열 변수), 성별(더미 변수), 출신 지역(호남 및 영남 더미 변수), 대통령 국정 지지(연속 변수) 그리고 대북 교류 협력 강화 및 복지 정책 확대에 대한 찬성 여부(더미 변수) 등이다.

 

1960년대생의 세대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반복횡단면 분석 역시 종속 변수는 보수 후보지지 여부이다. 관심 독립 변수는 1960년대생, 그 이전 및 이후 세대로 10년씩 구분한 세대 더미 변수이다. 이 모형은 연령, 주관적 자기 이념 평가, 교육 수준, 성별, 출신 지역 등과 같은 통제 변수들을 포함한다. 또한 선거 별로 상이한 기간 효과를 통제하기 위해 7회의 대선을 더미 변수로 회귀식에 포함했다. 이상의 분석에는 보수 후보에 대한지지 여부가 종속 변수이므로, 로짓 분석(logistic regression)이 사용되었다.

 

세대별 이념 성향의 특징을 발견하기 위한 분석에서 종속 변수는 응답자의 자기 이념 평가이다. 11점 척도를 기본으로 하고, KSDC 자료 중 일부는 5점 척도가 사용되어 11점으로 스케일을 조정했다. 이 분석에도 주요 관심 독립 변수는 연령 및 세대 변수이다. 종속 변수가 서열 변수로 측정되었기 때문에 이 분석에는 선형회귀분석을 사용했다.

 

4. 2022년 선거

 

2022년 대선은 2017년, 2012년 대선과 비교해 연령 혹은 세대에 따라 뚜렷이 대비되는 특성이 발견되지 않는다. [그림 1]에서 확인되듯이, 세대 간 투표 성향의 차이도 2022년 대선에서는 많이 완화됐다. 청장년층은 진보 후보를, 중노년층은 보수 후보를 지지했던 역대 선거와는 확연히 달랐다. 양자 구도였던 2012년 대선과 비교하면 이 경향은 더욱 분명해진다. 2017년 대선에서 보였던 세대 간 투표 차이와도 구분된다. 대체로 2022년 대선에서 60년대생의 투표 선택은 전체 유권자의 투표 선택과 거의 일치한다([그림 1] 참조).

 

[그림 1] 최근 대선과 세대 투표 성향

 

유권자들이 이번 대선에서 후보를 선택할 때 크게 영향을 받은 변수는 주관적 이념 인식, 문재인 대통령 직무평가, 그리고 대북정책에 대한 선호였다. 나이나 세대, 성별, 지역, 교육 수준, 소득 등 투표 선택 결정요인으로 알려진 이른바 사회 인구학적 특성은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물론 선거 운동 기간에 불거졌던 양 진영 후보와 가족들의 도덕성 문제 등 정치적 공방과 관련된 이슈의 영향력은 컸다. 이 모든 변수를 다 통제했을 때, 영향력을 행사하는 변수는 이념, 대통령 직무평가, 대북정책 선호였다.

 

[표 1] 윤석열 후보 투표 선택 결정 요인: 2022년 대선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보수적일수록, 문재인 대통령이 직무를 잘못했다고 평가할수록, 그리고 북한에 강경하게 대응해야 한다고 생각할수록 유권자들은 윤석열 후보를 선택했다. 반대로 진보적일수록, 문재인 대통령이 직무를 잘했다고 평가할수록, 북한을 화해 협력으로 대해야 한다고 생각할수록 유권자들은 이재명 후보를 선택했다. 내가 어느 세대에 속하느냐 하는 문제는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60년대생도 마찬가지였다. 세대적 정체성이 투표 선택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60년대생들도 다른 유권자들과 마찬가지였다. 이념에 따라, 대통령 직무수행 평가에 따라, 그리고 대북정책에 대한 입장에 따라 후보를 선택했다([표 1] 참조). 세대 효과 중 그나마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발견은 1970년대생일수록 윤석열 후보를 지지하지 않을 확률이 높다는 정도였다.

 

60년대생 중 스스로를 이념적 중도라고 인식하는 비율이 42%로 가장 높았다([그림 2] 참조). 보수는 32%, 진보는 25% 정도 되었다. 거의 유권자 전체 평균과 유사하다. 가장 진보는 0, 중도는 5, 가장 보수는 10으로 점수를 매겼을 때, 60년대생의 주관적 이념 인식 평균은 5.15였다. 중도에서 보수 쪽으로 미세하게 기울었다. 유권자 전체 이념 인식 평균이 5.28이니, 거의 비슷하거나 미세하게 더 진보 쪽으로 기울었다고 할 수 있다. 평균이 4.79로 가장 진보적인 70년대생과 이보다 훨씬 보수적인 40~50년대생의 가운데에 있다. 보수화로 논란이 되고 있는 90년대생보다는 조금 더 진보적이었다.

 

[그림 2] 세대별 주관적 이념 인식

 

흥미로운 것은 2022년 대선에서 확인된 세대별 주관적 이념 인식은 이른바 “U자형”을 띄고 있다는 점이다. 기존 대선에서는 대체로 젊은 세대가 스스로 진보적인 것으로 인식하고 중장년으로 갈수록 보수적인 것으로 인식했다. 2022년 대선에서는 연령-이념 인식 간의 단선적인 관계에 변화가 나타나고 있음을 추론할 수 있다.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이념 인식이 음의 값을 가지다가, 특정 시점 이후로는 다시 양의 값을 가지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차회귀분석(quadratic regression)에서 U자형 커브를 확인하기 위해 회귀모델 방정식의 계수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y = b0 + b1*x1 +b2*x1^2

 

위의 식에서 U자형 커브를 확인하려면 b2는 양의 값을 가져야 하고, b1은 음의 값을 가져야 한다. 아래 [표 2]에서 모델(1)은 연령과 이념인식 간의 선형 관계를, 모델(2)는 비선형 U자 커브를 확인하기 위한 회귀식이다. 모델(1)에서 연령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다. 다시 말해 단순 선형 관계가 아닐 수 있다는 의미이다. 모델(2)에서는 예상대로 연령 변수의 계수(b1)은 음의 값을, 연령 변수 제곱의 계수(b2)는 양의 값을 나타낸다. 다시 말해 연령이 높아질수록 진보적으로 인식하다가, 특정 연령대가 되면 다시 보수적으로 인식하게 된다는 것이다. 이때 변곡점은 x=-b1/2b2로서 42.62세로 확인된다. 즉 18세부터 연령이 증가할수록 스스로를 더 진보적인 것으로 인식하다가 42.62세에서 정점에 이르고, 그 이후부터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스스로를 더 보수적인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는 의미이다.

 

60년대생들은 문재인 대통령 국정 수행에 대해 10점 만점에 4.8의 점수를 줬다([그림 3] 참조). 이 역시 유권자 전체 평균과 정확히 일치한다. 5점 중후반대로 평가한 70년대생이나 80년대생보다는 부정적이었지만 4점 초반대로 평가한 이전 세대보다는 긍정적이었다.

 

60년대생들의 61%는 대북강경정책보다 대북 화해협력정책을 선호했다([그림 4] 참조). 60년대생들보다 조금 더 진보적으로 스스로를 인식하는 70년대생들과 같은 비율이었다. 이 비율은 유권자 전체 평균보다 10%p 정도 높았다. 10여 년 전부터 관찰된 이른바 역U자형 패턴이 그대로 나타났다. 청년층과 노년층이 강경정책을 선호하고 중년층이 화해협력정책을 선호한다는 의미이다. 청년이 화해 협력을, 중장년이 강경책을 선호한다는 기존의 공식이 깨진 결과이다. 성장과 복지에 대한 우선순위에서 60년대생들 중 39%가 복지를 우선시했다. 이는 전체 유권자 평균인 46%보다 낮았다. 특징적인 것은 60년대생들에게서 대북화해협력정책과 복지 우선 간의 차이가 가장 컸다. 대부분의 세대에서 이 두 변수 간의 차이가 거의 없거나 작았는데, 90년대생 이후와 60년대생만 둘 간의 차이가 두드러졌다.

 

[표 2] 이념 인식 요인: 2022년 대선

 

흥미로운 점은 이 패턴이 90년대생들과 정확히 반대라는 점이다. 부모세대인 60년대생들의 다수는 대북화해협력정책에 긍정적이지만, 복지우선정책에는 부정적이다. 반대로 자식세대인 90년대생들의 다수는 대북화해협력정책에 부정적이지만, 복지우선정책에 대해서는 다소 긍정적이다. 이 점은 ‘세대 간 진보-보수의 주관적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다르다’는 선행 연구와 일치하는 결과이다. 중장년층은 주로 대북정책에 따라 자기 이념을 규정하지만, 청년층은 복지-성장의 선호에 따라 자기 이념을 규정한다는 것이다. 70년대와 80년대생들은 이 두 변수가 모두 진보적 성향에 영향을 미쳤고, 60년대생과 90년대생들은 두 변수 간의 영향력이 상쇄된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이번 대선에서는 대북정책 선호는 투표 선택에 크게 영향을 미쳤으나, 성장-복지에 대한 정책 선호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력을 발휘하지 못했다.

 

[그림 3] 세대별 대통령 국정 수행 평가

 

[그림 4] 세대별 대북정책 및 성장-복지정책 선호

 

종합하자면, 60년대생은 이번 대선의 투표 결정 요인 중 가장 부각된 주관적 이념 인식과 대통령 국정 수행 평가에서 유권자 전체 평균과 거의 유사한 패턴을 보였다. 대북정책의 경우 화해협력정책에 60년대생의 다수가 유권자 평균보다 다소 우호적이었다는 점이 특징으로 확인되었다. 결국 60년대생의 특별한 세대 정체성이 투표 선택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이는 다른 세대도 마찬가지였다. 70년대생은 윤석열 후보에게 투표할 때 세대적 정체성이 부정적인 영향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5. 1992-2022년 결합 자료 분석

 

2022년 대선에서 ‘86세대’는 유권자 평균과 거의 비슷하게 후보자를 선택했다. 투표 선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쳤던 주관적 이념 인식, 대통령 직무수행 평가도 마찬가지였다. 대북정책에 대한 선호는 유권자 평균보다 조금 더 화해협력정책을 선호했지만, 그 차이가 크지는 않았다. 그렇다면 ‘86세대’는 이전에 ‘진보적’이었다가 나이 들면서 ‘보수화’된 것인가? 혹은 다른 경로를 걸은 것인가?

 

민주화 이후 역대 선거는 이념적으로 출렁였다. 투표 선택만 놓고 봐도 양자구도일 때와 다자구도일 때가 다르다. 따라서 특정 정당에 투표한 비율만 놓고 ‘진보적’ 혹은 ‘보수적’ 투표를 했다고 단정 짓기 힘들다. 두 가지 방법으로 이 출렁임을 보정했다. 첫째, 보수 우세율이다. 보수 정당 후보의 득표율이 우세한 만큼을 측정하는 것이다. 둘째, 전체 평균 중심화 기법이다. 선거 시기의 평균값에서 특정 세대별 평균값을 빼는 방식이다. 이 방법을 적용한 그래프가 [그림 5]이다. 이에 더해 한 가지 방식을 추가했다. 선거 별로 세대 간 투표 선택의 특성을 찾을 것이 아니라 생애주기별로 각 세대의 투표 선택의 특징을 찾아보는 방식이다. 특정 연령대에 각 세대들이 어떤 투표 선택을 했는지 보려는 목적이다.

 

붉은색으로 굵게 표시된 선이 60년대생의 투표 패턴이다. 가운데 0을 기준으로 아래에 있으면 진보적인 투표를 한 것이고, 위에 있으면 보수적인 투표를 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가장 특징적인 지점은 60년대생의 투표 선택이 매우 완만한 기울기를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이전 세대인 50년대생이나 40년대생과 비교하면 확연히 완만한 기울기이다. 나이가 들면 보수화된다는 연령 효과와 다른 패턴이다. 60년대생의 정중앙인 65년생이 53세였던 2017년 대통령 선거에서 평균보다 다소 보수적으로 투표했지만, 나머지 선거에서는 대체로 평균보다 다소 진보적인 투표를 했다. 또 하나의 특징적인 지점은 60년대생들이 청장년 시기에 보였던 투표행위가 그다지 ‘진보적’이지 않았다는 점이다. 60년대생 이전 세대들이 청장년 시기에 보였던 투표 행위는 경험적 자료가 부재한 탓에 비교가 불가능하지만, 그 이후 세대와 비교가 가능하다. 같은 나이대로 비교했을 때 60년대생들보다 70년대생들과 80년대생들의 ‘진보적’ 투표가 확연하다.

 

정리하자면, 60년대생들은 이전 세대와 다른 투표 선택의 특성을 보인다. 청장년 시기에 보였던 투표 선택의 특성이 나이가 들면서도 유지되고 있기 때문이다. 40-50대에 보이는 급격한 보수화의 징후가 아직 발견되지 않는다. 이 점에서는 이전 세대와 분명 큰 차이가 있다. 동시에 60년대생들은 알려진 바처럼 청장년 시기에 ‘진보적’ 성향의 투표를 한 것으로 관찰되지는 않는다. 실제 민주화 이후 실시된 총 8회의 대선에서 1960년대생이 보수 후보보다 진보 후보를 더 많이 지지한 선거는 세 번에 불과하다. 1997년, 2002년, 2017년 선거 때가 그렇다. 이번 대선을 포함해 나머지 5회의 대선에서는 보수 후보를 더 많이 지지했다. 이 세대가 진보 후보를 더 많이 지지한 세 번의 선거는 전 세대가 진보 방향으로 이동한 선거였다. 반대로 이 세대가 보수 후보를 더 많이 지지한 다섯 번의 선거는 전 세대가 보수 방향으로 이동한 선거였다. 이른바 ‘기간(period)’효과가 작동한 선거였다. 이런 착시현상을 교정해 살펴본 결과, 60년대생은 20~30대 청년 시기에도 전 세대 평균에 근접한 위치에서 약한 진보적 성향의 투표를 한 것으로 확인됐다. 그 이후에도 이 경향은 크게 변하지 않았다.

 

[그림 5] 생애주기별 세대 투표[4]

 

이상의 내용을 바탕으로 1992년부터 2022년까지 총 7회의 대선 여론 조사 자료를 결합한 자료를 통해 분석해보기로 하자. [표 3]에서 확인되듯이 민주화 이후 한국 대통령 선거에서 연령, 이념, 지역이 뚜렷하게 보수 후보를 지지하는 요인으로 작동하고 있다. 나이가 많아질수록, 스스로를 보수적으로 인식할수록, 그리고 영남 출신일수록 보수 후보를 지지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표 3]에서 우리의 관심 변수는 세대별 더미 변수이다. 70년대생은 다른 세대에 비해 보수 후보를 지지하지 않을 확률이 높고, 50년대생과 90년대생은 보수 후보를 지지할 확률이 높다. 이 연구의 최대 관심 변수인 60년대생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60년대생의 더미 변수 계수는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60년대생 더미 변수 0의 값은 그 이전 세대와 그 이후 세대를 함께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60년대생보다 이전 세대인 50년대생은 더 보수적이고, 그 이후 세대인 70년대생은 더 진보적일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이 분석에서도 예상대로 확인되었다. 결국 60년대생 더미 변수 0의 값에 해당하는 나머지 집단은 균질적이지 않고, 양쪽의 영향력으로 상쇄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60년대생은 50년대생보다 진보적이고 70년대생보다 보수적으로 투표했을 가능성이 높다. 많이 회자되는 것처럼 60년대생이 진보의 아이콘으로서 가장 진보적인 투표 행위를 한 것은 아니라는 의미이다.

 

[표 3] 역대 대선과 세대 효과

 

[표 4] 역대 대선과 생애주기별 세대 효과

 

[표 4]는 1992년부터 2022년까지 5년 단위의 여론조사를 연령대별로 구분하여, 세대별 같은 생애주기에서 투표 선택의 정치적 성격을 비교하고 있다. 모형(1)부터 (6)까지는 40대 이하, 즉 20-30대들을 대상으로 각 세대의 더미 변수가 유의미한지 여부를 다루고 있다. 비슷한 연령대별로 묶어서 분석했기 때문에 그 내부에서 연령 효과는 거의 발견되지 않았다. 이념과 지역, 그리고 각 선거별 기간 효과는 예상대로 확인되었다.

 

이 연구의 관심사는 세대별 더미 변수의 효과이다. 20대-30대에서는 어느 세대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계수의 부호상으로는 50년대생과 60년대생이 보수적으로, 70년대생과 80년대생이 진보적인 것으로 확인되지만 통계적으로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다시 말해 40대 이하에서는 어느 특정 세대가 더 진보적이거나 더 보수적인 것이 아니라는 의미이다. 50대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더미 변수는 없었다. 이 역시 특정 세대가 진보적 혹은 보수적인 것이 아니라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40대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더미 변수가 70년대생에서 확인되었다. 즉 40대에서 70년대생은 다른 세대보다 보수적인 후보를 지지하지 않은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그렇지만 이 문제 역시 해석에 주의를 요한다. 60년대생이 아니라 70년대생이 40대에서 다른 세대보다 더 진보적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나, 이를 ‘세대 효과’로 볼 수는 없다. 70년대생이 보수화의 분기점인 50대가 되어서도 다른 세대보다 진보적인 투표 선택을 한다면, 그때 ‘세대 효과’로 해석할 수 있는 여지가 생길 수 있다. 다시 말해 아직 본격적인 50대로 진입하지 않은 70년대생의 투표 선택을 세대 효과로 접근해 해석하는 것은 시기상조라는 의미이다. 10여 년 전에 60년대생의 투표 선택을 세대 효과로 접근했던 기존 연구의 한계를 지적했던 것과 같은 맥락이다.

 

[표 4]에서 인상적인 발견은 50대에서 연령 변수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했다는 점이다. 40대까지는 그 그룹 내에서 연령이 증가한다고 해서 보수적인 투표 선택을 한다고 볼 수 없었지만, 50대에는 그룹 내에서 연령 효과가 작동한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다시 말해 50대로 접어들면 급격히 보수화된다는 기존 통념이 이 분석에서도 확인되고 있다.

 

이념 인식의 변화과정을 살펴보면 또 하나 흥미로운 지점이 발견된다. [그림 6]은 투표 선택과 마찬가지로 생애주기효과와 중심화 기법을 사용해 세대별 이념 인식을 추적한 그래프이다. 왼쪽 그림에서 60년대생은 20-30대였을 때 그 이전 세대인 70년대생과 비슷한 수준으로 스스로를 진보적이라 인식했다. 다만 [그림 5]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실제 투표 선택은 70년대생과 꽤 큰 차이로 벌어진다. 60년대생은 스스로 진보적이라고 인식했지만, 투표 선택은 이념 인식만큼 진보적이지는 않았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그림 6] 생애주기별 주관적 이념 인식

 

[표 5] 역대 대선과 이념 인식

 

실제로 [표 5]에서 세대 더미 변수가 이념 인식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봐도 위의 [그림 5]와 [그림 6] 간의 괴리가 확인된다. 60년대생은 70년생과 마찬가지로 다른 세대보다 스스로를 더 진보적인 것으로 인식하고 있다. 하지만 [표 3]과 [표 4]에서 확인했듯이 60년대생의 투표 선택은 다른 세대보다 진보적이지 않았다. 다시 말해 스스로 진보적이라 인식했던 것만큼 투표 선택이 진보적이지는 않았다.

 

6. 주요 발견 및 결론

 

이상의 분석을 통해 발견한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22년 대통령 선거에서 연령이나 세대 관련 투표 선택의 경향은 이전 선거에 비해 약해졌다. 둘째, 연령과 이념 인식 간의 관계는 기존의 단선형 구조가 아니라 U자형 곡선으로 나타났다. 40대 초반까지는 나이가 들수록 스스로를 더 진보적으로 인식하게 되고, 42세를 기점으로 그 이후부터는 나이가 들수록 더 보수적인 것으로 인식하게 된다. 셋째, 60년대생은 청년 시기에도 중장년에 접어든 지금에도 다른 세대보다 진보적인 투표 선택을 했거나 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넷째, 60년대생은 스스로를 진보적으로 평가해왔지만, 투표 선택은 이념 평가만큼 진보적이지는 않았다. 다섯째, 오히려 70년대생이 60년대생보다 40대에 더 진보적으로 투표 선택을 하고 있다. 다만 70년대생은 아직 보수화의 분기점인 50대로 본격 진입하지 않았기 때문에 ‘세대 효과’로 접근해 해석하는 것은 곤란하다. 여섯째, 50대에 들어서면 현재까지 모든 세대가 급격히 보수화되고 있다.

 

이번 2022년 대선에서 ‘86세대’의 세대적 정체성이 투표 선택으로 나타나지는 않았다. 다른 세대도 마찬가지이다. 유권자들은 세대적 특성으로 투표하지 않았다. 이념적, 그리고 정책 선호의 이질성이 투표 선택에 영향을 미쳤다. 이념 인식, 대통령 직무평가, 대북정책 등이 그것이다. 수입, 자산, 자가 소유 여부, 계층 인식 등의 이질성은 충분히 주목받지 못하고 있다. 선택할 수 있는 정당의 제약으로 이 변수들이 발현되지 않았을 뿐이라는 것이 합리적 해석일 것이다. 결국 ‘아무개’ 세대가 한 묶음일 수는 없다. 최근 학계에서 세대 간 차이보다 세대 내 차이에 주목해야 한다는 논의들이 주목받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신진욱 2022).

 

글 서두에 ‘86세대’라는 표현이 논쟁적이라고 밝힌 바 있다. 편의상 10년 단위로 세대를 구분하는 방식이 학계에서는 충분히 비판받고 있지만, 그 방식대로 이른바 ‘86세대’의 정치적 특성을 추적해봤다. 이 ‘세대’는 여느 ‘세대’와 크게 다르지 않았다. 이제 ‘86세대’ 대신 ‘60년대생’이라는 표현으로 복귀를 논의해봄 직하다. 최소한 투표 선택 및 이념 인식과 관련된 경험적 자료 분석 결과로부터 ‘86세대’와 붙어 다니던 ‘세대 효과’는 더 이상 찾을 수 없다. 애초부터 없었다는 것이 더 정확한 표현이다. ■

 

참고문헌

 

강원택. 2003. 『한국의 선거정치: 이념, 지역, 세대와 미디어󰡕. 서울: 푸른길.

강원택. 2009. “386 세대는 어디로 갔나?: 2007년 대선과 2008년 총선에서의 이념과 세대.” 김민전·이내영 공편. 『변화하는 한국유권자 3: 패널조사를 통해 본 18대 국회의원선거』. 서울: 동아시아연구원.

노환희·송정민·강원택. 2013, “한국선거에서의 세대효과: 1997년부터 2012년까지의 대선을 중심으로,” 『한국정당학회보』, 12권1호: 113-140.

문우진. 2016. “한국 선거경쟁에 있어서 이념 갈등의 지속과 변화.” 『한국정당학회보』, 15(3), 37-60.

박명호. 2009. “2008 총선에서 나타난 세대 효과와 연령 효과에 관한 분석: 386 세대를 중심으로.” 『한국정당학회보』 제8권 1호, pp.65-86.

박원호. 2013, “세대론의전환: 제18대대통령선거와세대,”박찬욱·김지윤·우정엽 편, 『한국유권자의선택2: 18대대선』(서울: 아산정책연구원): 201-247.

배진석. 2017. “투표선택과 이념 성향의 세대요인: 1992-2017년 대통령선거 분석” 강원택 편 <변화하는 한국유권자 6: 촛불집회, 탄핵정국과 19대 대통령선거> 동아시아연구원

서현진. 2008. “17대 대통령선거의 투표참여와 세대에 관한 연구.” 『의정연구』 제14권 2호, pp.117-142.

신진욱. 2022. <그런 세대는 없다: 불평등 시대의 세대와 정치 이야기> 개마고원

오세제. 2015. “386세대 세대효과의 특징 연구: 세대효과의 조건적 표출을 중심으로” 『21세기 정치학회보』 제25집 1호

오세제 이현우. 2014. “386세대의 조건적 세대효과: 이념성향과 대선투표를 대상으로” 『의정연구』 제20권 제1호

이내영. 2002. “세대와 정치이념.” 『계간사상』 가을호, pp.53-79.

이우진. 2013, “성과 세대의 정치경제,” 『재정학연구.』 7권 4호

정진민. 1992, “한국선거에서의 세대요인,”『한국정치학회보』, 26집1호: 145-167.

정진민. 1994, “정치세대와 14대국회의원선거,”『한국정치학회보』, 28집 1호: 257274.

정진민·황아란. 1999, “민주화 이후 한국의 선거정치: 세대요인을중심으로,”『한국 정치학회보』, 33집2호: 115-134.

허석재. 2014. “세대와 생애주기, 그리고 투표선택: 1992~2012 대통령선거 분석.” 『한국과 국제정치』30권 2호: 167-199

Abramson, Paul. 1975. Generational Change in American Politics. Lexington: Lexington Books.

Alwin, Duane F. and Jon A. Krosnick. 1991, “Aging, Cohorts, and the Stability of Sociopolitical Orientations over the Life Span,”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Vol. 97, No. 1: 169-195.

Barnes, S.H. 1989. “Partisanship and Electoral Behavior.” In M. K. Jennings and J.W. Van Deth, eds. Continuities in Political Action. Berlin: De Gruyter.

Cho, Jinman and Kihong Eom. 2012, “Generation Effects? An Empirical Analysis of the Korean National Assembly and Presidential Elections,” Asian Perspective, Vol. 36, No. 3: 353-386.

Feather, N. T. 1977, “Value Importance, Conservatism, and Age,” Europe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Vol. 7, No. 2: 241-245.

Mannheim, Karl. 1952, “The Problem of Generations,” Paul Kecskemeti (ed.), Essays on the Sociology of Knowledge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76-322.

Truett, K. R. 1993, “Age Differences in Conservatism,”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 14, No. 3: 405-411.

Van Hiel, Alain and Lieven Brebels. 2011, “Conservatism is Good for You: Cultural Conservatism Protects Self-esteem in Older Adult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 50, No. 1: 120-123.

 


 

[1] “실제 양자구도로 치러진 2012년 대선에서 패배한 문재인 후보의 득표율은 48.2%로서 1997년 3자 구도로 치러진 1997년 대선에서 김대중 후보가 당선된 득표율 40.3%를 크게 앞선다. 패배한 문재인 후보의 득표율과 당선된 김대중 후보의 득표율을 단순 비교할 경우 유권자들의 투표행위를 제대로 포착할 수 없음은 자명하다.” (배진석 2017, 172)

[2] “연령 변수와 더미 형식의 세대 변수를 한꺼번에 포함한 연구들(허석재 2014; 오세재 2015)의 통계분석을 유사한 방식으로 시험 복제(replication)한 결과 관심변수인 세대 변수들의 분산팽창계수(variance inflation factor, VIF)가 10을 상회하거나 육박해 다중공선성이 의심되었다. 또한 세분화한 4-5개의 세대 변수가 동시에 회귀식에 포함될 경우 의도한 바와 달리 각각의 세대 효과보다는 연령 효과로 해석될 가능성도 배제하기 힘들다.”(배진석 2017, 167-168)

[3] “예를 들어 1960년대 이전 세대의 더미변수가 보수 후보를 더 지지하는 결과로 나올 경우 이 세대는 1960년대생이나 그 이후 세대에 비해 더 보수적인 투표행위를 보인 것으로 쉽게 해석이 가능하다. 1960년대 이후 세대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문제는 1960년대생의 더미변수 해석 문제이다. 1960년대생 더미변수의 0 값은 그 이전 세대와 이후 세대를 함께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그 이전 세대는 1960년대생보다 더 보수적이고, 그 이후 세대는 더 진보적일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나머지 집단은 균질적이지 않게 된다. 따라서 1960년대생 더미 변수의 효과는 양쪽의 영향력으로 상쇄될 가능성이 있다. 1960년대생의 영향력이 애매하게 나올 경우, 그 이전 세대와 이후 세대의 영향력이 예상 방향과 일치하고 통계적으로 유의미(significant)한지 여부에 따라 간접 확인할 수밖에 없다.” (배진석 2017, 174)

[4] ‘보수 우세율’과 ‘전체 평균 중심화’ 기법을 사용하였다.

 


 

저자: 배진석_경상국립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조교수. 미국 텍사스대학교(오스틴) (University of Texas, Austin)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주요 연구분야는 민주화와 신생 민주주의 맥락에서 선거, 정당, 여론 등이다. 동아시아연구원 선임연구원으로서 2013년 아시아민주주의네트워크(ADN), 아시아민주주의연구네트워크(ADRN) 창립 당시 실무를 담당한 바 있다.

 


 

담당 및 편집: 전주현_EAI 연구원
    문의: 82 2 2277 1683 (ext. 204) | jhjun@eai.or.kr
 

Related Pub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