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보도

[대선 1년전, 국민 의식변화 조사…] 진보 줄고 중도 늘었다

  • 2006-12-18
  • 김광덕기자 (한국일보)

2002년보다 각각 6.3%P↓ 6.5%P↑
한국일보·동아시아硏 공동
보수는 1.6%P 증가 ‘미미’
자주외교 지지 42% ↘ 22%
분배보다 성장 27% ↗ 54%
  
17대 대선을 1년 앞둔 현재, 16대 대선이 실시된 2002년과 비교할 때 스스로를 진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6.3% 포인트 줄고, 중도는 6.5% 포인트 늘어나는 등 우리 국민의 이념 성향이 달라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일보와 동아시아연구원(원장 김병국 고려대 정외과 교수)이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11월22일부터 12월5일까지 전국의 성인 1,032명을 대상으로 개별 면접을 통해 정치 안보의식을 조사한 결과 자신의 이념 성향을 "중도"라고 평가한 응답자가 45.1%에 달했다.

 

"대단히 진보적이면 0점, 중도적이면 5점, 대단히 보수적이면 10점"으로 평가해달라는 질문에 "0~4"라고 대답한 진보층은 18.6%, "6~10"이라고 응답한 보수층은 36.3%였다.

 

2002년 5월 본보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실시한 조사에선 자신의 이념을 "중도(5)"라고 평가한 사람이 38.6%, 진보(0~4) 또는 보수(6~10)이라고 응답한 사람이 각각 24.9%, 34.7%였다.

 

4년 반 사이에 진보는 6.3% 포인트 줄어든 반면 보수는 1.6% 포인트, 중도는 6.5% 포인트 증가한 셈이다. 이는 참여정부 출범 후 개혁 정책의 실패와 북한의 핵실험 등에 따른 현상으로 보인다.

 

성장과 분배, 한미관계 및 대북 문제 인식 등에서도 진보 의식 감소가 나타났다.

 

2002년 조사 때 "미국 중심 외교에서 탈피해 자주 외교를 해야 한다"는 의견이 42.1%에 달했으나, 이번 조사에선 "미국의 간섭이 없는 독자적 외교 정책을 지지한다"는 견해는 22%에 머물렀다.

 

또 분배보다 경제성장을 중시해야 한다는 의견이 2002년에는 27.5%였으나, 이번에는 53.5%로 올랐다. 대북 지원 문제도 "지원 축소" 또는 "전면 중단" 입장을 밝힌 응답자가 75.1%로 2002년 59.1%보다 16% 포인트 늘었다.

 

이와 함께 전교조 활동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78.2%인 반면 긍정적 평가는 27.7%에 그쳤다.

 

이에 반해 주한미군에 대해 "점차 축소" (51.3%) 또는 "즉각 철수"(3.6%)를 바라는 의견이 "상당 기간 주둔" (38.7%) "영구 주둔" (5.8%) 보다 더 많았다.

 

이내영 고려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진보 개혁세력을 자임해온 참여정부에 대한 부정적 평가로 젊은 세대에서 진보층이 크게 줄었다"며 "하지만 보수층이 크게 증가하지 않고 있는 점도 주목해야 한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