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의 개발협력 전략 : 원조효과성을 위한 복합네트워킹” 발표회
| 2012-03-23
전세계에서 유일하게 국제원조 수혜국에서 공여국으로 발전한 국가인 한국에서 개최된 2011년 부산 세계개발원조총회의는 한국의 국제적 위상과 외교 비전에 대한 큰 함의를 담고 있습니다. 이를 계기로 동아시아연구원은 ODA 연구팀을 발족하였으며, 총 5명의 전문가들이 한국의 공적개발원조 정책을 검토하고 국제규범 등을 분석하여 한국의 개발협력 전략을 도출하였습니다.
국제원조 수혜국에서 공여국으로 발전한 유일한 국가인 한국에서 개최된 2011년 부산 세계개발원조총회의는 한국의 국제적 위상 확립과 새로운 외교 비전 수립의 측면에서 큰 함의를 가집니다. 동아시아연구원은 일회성 이벤트가 아닌 한국의 지속적인 외교전략차원에서 공적개발원조(ODA) 정책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는 인식하에 ODA 연구팀을 발족하였습니다. 총 5명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연구팀은 한국의 ODA 정책을 검토하고 국제규범 등을 분석하여 한국의 개발협력 전략을 도출하였습니다.
동아시아연구원은 3월 23일(금) 오후 3시 연구팀의 최종 보고서 발표회를 개최하였습니다. 발표회에서는 연구팀의 연구결과 발표에 이어 각 분야별 전문가들의 토론을 진행하였습니다.
프로그램 |
15:00~15:10 |
개회사
|
15:10~16:00 |
발표 "한국의 개발협력 전략 : 원조효과성을 위한 복합네트워킹"
제1장 : 개발협력의 개관_이숙종(동아시아연구원 원장; 성균관대학교 교수) 제2장 : 개발협력 아키텍처_손열(연세대학교 교수) 제3장 : 개발협력의 역사적 전개_구정우(성균관대학교 교수) 제4장 : 주요 공여국의 개발협력 정책_이승주(중앙대학교 교수) 제5장 : 한국의 개발협력 전략_김태균(이화여자대학교 교수)
|
16:00~17:00 |
토론
사회자 이숙종(동아시아연구원 원장; 성균관대학교 교수) 토론자 권 율(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연구위원) |
[EAI 컨퍼런스] 한국 민주주의 미래와 제도개혁: 위기와 대안 I & II
| 2012-03-23
EAI 창립 22주년 기념 후원의 밤
| 2012-0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