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국민 상호인식 조사] 여론으로 보는 한일관계 컨퍼런스 (10/13 금 오후 1시 30분)](/data/bbs/kor_event/202310061325471010391140.png)
[한일 국민 상호인식 조사] 여론으로 보는 한일관계 컨퍼런스 (10/13 금 오후 1시 30분)
| 2023-10-13
동아시아연구원(EAI)은 지난 10년 동안 축적한 한일 국민들의 상호인식조사 데이터에 대한 엄밀한 사회과학적 분석을 토대로 한일관계의 변동 과정과 향후 발전 방향을 논의하고자 10월 13일(금) 컨퍼런스를 진행하였습니다. 학자 및 전문가, 시민단체, 양국 언론, 학생 등이 참석한 이번 컨퍼런스에서는 역사, 안보, 경제 등 다양한 각도에서 한일관계를 살펴보고, 미래 한국의 대일본 외교 정책 방향을 심도 있게 논의하였습니다.
■ 일시: 2023년 10월 13일(금) 오후 1시 30분-오후 6시
■ 장소: 동아시아연구원(EAI) 컨퍼런스홀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7길 1)
■ 참석자:
O 강태웅 광운대 교수
O 박명희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O 박성빈 아주대 교수
O 박승현 계명대 교수
O 석주희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
O 손열 EAI 원장
O 심규선 일제강제동원 피해자 지원재단 이사장
O 오승희 서울대 일본연구소 교수
O 윤석정 국립외교원 교수
O 이기태 통일연구원 국제전략연구실장
O 이숙종 EAI 시니어 펠로우
O 이원덕 국민대 교수
O 이정환 서울대 교수
O 이주경 부산대 사회과학연구원 교수
O 조은일 한국국방연구원 선임연구원
■ 프로그램
시간 |
순서 |
세부내용 |
비고 |
|
13:30-14:00 |
개회사 및 기조 발표 |
손열 EAI 원장: “2023 한일국민상호인식조사 결과 개요” |
|
|
14:00-15:00 |
제1세션
|
“한일관계와 역사인식” |
||
사회 |
심규선 일제강제동원 피해자지원재단 이사장 |
|
||
발제 |
박승현 계명대 교수: “한일 양국은 상대국에서 무엇을 떠올리는가: 역사 되새김과 망극의 간극" |
개인별 발제 15분 |
||
석주희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 “한일국민상호인식조사로 바라본 ‘혐오’문제와 한일관계: 공공외교와 민간교류의 확장을 향하여” |
||||
윤석정 국립외교원 교수: “한일관계의 발전과 역사문제 사이의 국민 여론” |
||||
이주경 부산대 사회과학연구원 교수: “한일 외교와 국민의 정치적 효능감: 상대국 인식, 대응 평가, 정치 신뢰를 중심으로” |
||||
15:00-15:50 |
토론 |
이원덕 국민대 교수 |
종합 토론 50분 |
|
강태웅 광운대 교수 |
||||
15:50-16:00 |
휴식 |
|
||
16:00-17:00 |
제2세션 |
“한일 상호 인식의 다면적 분석” |
||
사회 |
이숙종 EAI 시니어 펠로우 |
|
||
발제 |
이정환 서울대 교수: “한일 경제 관계와 경제협력에 대한 상호인식” |
개인별 발제 15분 |
||
오승희 서울대 일본연구소 교수: “한일 국민의 주변국 인식: 한일 상호 연결 강화와 위협로서의 북한과 중국” |
||||
박명희 국회입법조사처 입법조사관: “한일 국민의 역사인식과 외교정책 결정구조” |
||||
조은일 한국국방연구원 선임연구원: “여론조사로 읽는 한일 안보관계: 한일관계에서 안보는 중요할까?” |
||||
17:00-17:50 |
토론 |
박성빈 아주대 교수 |
종합 토론 50분 |
|
이기태 통일연구원 국제전략연구실장 |
||||
17:50-18:00 |
폐회식 |
|
|
■ 문의: 오준철 EAI 연구보조원(jcoh@eai.or.kr, 02-2277-1683(205))
한일관계 재건축
한일 국민 상호인식(동아시아 인식) 조사
[EAI 컨퍼런스] 한국 민주주의 미래와 제도개혁: 위기와 대안 I & II
| 2023-10-13
EAI 창립 22주년 기념 후원의 밤
| 2023-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