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원조 수혜국에서 공여국으로 발전한 유일한 국가인 한국에서 개최된 2011년 부산 세계개발원조총회의는 한국의 국제적 위상 확립과 새로운 외교 비전 수립의 측면에서 큰 함의를 가집니다. 동아시아연구원은 일회성 이벤트가 아닌 한국의 지속적인 외교전략차원에서 공적개발원조(ODA) 정책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는 인식하에 ODA 연구팀을 발족하였습니다. 총 5명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연구팀은 한국의 ODA 정책을 검토하고 국제규범 등을 분석하여 한국의 개발협력 전략을 도출하였습니다.
동아시아연구원은 3월 23일(금) 오후 3시 연구팀의 최종 보고서 발표회를 개최하였습니다. 발표회에서는 연구팀의 연구결과 발표에 이어 각 분야별 전문가들의 토론을 진행하였습니다.
15:00~15:10 |
개회사
|
15:10~16:00 |
발표
"한국의 개발협력 전략 : 원조효과성을 위한 복합네트워킹"
제1장 : 개발협력의 개관_이숙종(동아시아연구원 원장; 성균관대학교 교수)
제2장 : 개발협력 아키텍처_손열(연세대학교 교수)
제3장 : 개발협력의 역사적 전개_구정우(성균관대학교 교수)
제4장 : 주요 공여국의 개발협력 정책_이승주(중앙대학교 교수)
제5장 : 한국의 개발협력 전략_김태균(이화여자대학교 교수)
|
16:00~17:00 |
토론
사회자
이숙종(동아시아연구원 원장; 성균관대학교 교수)
토론자
권 율(대외경제정책연구원 연구위원) 권혁주(서울대학교 교수) 이성훈(한국인권재단 상임이사) 임정택(외교통상부 개발정책과장) 장재윤(한국국제협력단 정책기획부장) 차문중(한국개발연구원 국제개발협력센터소장)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