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오늘은 그 마지막 순서로 법과 원칙이 유명무실해져 버린 우리 사회의 모습을 고민해 봅니다.
박진규 기자가 보도합니다.
국민 모두가 한숨 짓는 장면.
법을 만들지만 오히려 법과 원칙은 지켜지지 않는 곳, 우리 국회의 모습입니다.
비단 국회만의 문제는 아닙니다.
우리사회 곳곳은 지켜지지 않는 법과 원칙으로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지방자치단체 공무원들의 토착형 비리는 근절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조그만 다툼에도 사람들은 거리로 쏟아져 나옵니다.
산업정책연구원(IPS)이 평가한 우리나라의 법ㆍ질서 순위는 65개국 중 30위. 공직부패 순위는 이보다 더 낮은 44위로 나타났습니다.
또 동아시아연구원에 따르면 지난 1989년부터 15년동안 우리나라 집회와 시위를 분석한 결과 요구사항이 받아들여지는 비율은 불법시위가 29.1%로 합법적인 시위보다 높았습니다.
이쯤되면 법을 지키는 것보다 지키지 않는 것이 더 이익인 사회가 아닐 수 없습니다.
<인터뷰> 남성일 서강대 교수
<기자브릿지>
하지만 더 큰 문제는 불법파업이 단순한 생산차질을 넘어 기업들의 경쟁력 자체를 낮추고 있다는 점입니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지난해 주한외국기업들의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를 보면 80% 이상이 우리나라의 노사관계가 적대적이라고 답했습니다. 또한 90% 이상이 불안정한 노사관계가 기업경쟁력을 약화시킨다고 평가했습니다.
<인터뷰> 이정일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
세계은행은 국가자본의 3요소, 자연자본, 생산자본, 무형자본 가운데 선진국일수록 무형자본의 비중이 높다고 설명합니다.
무형자본이란 법질서, 신뢰, 지식 등이 포함된 선진의식을 의미하는 지표입니다.
우리나라의 소득은 현재 OECD 국가 평균의 65% 수준까지 올라온 상태지만 무형자본은 OECD 국가 평균의 30% 수준, 20위권에 머물러 있습니다.
<인터뷰> 남성일 서강대 교수
전국경제인연합회 설문조사결과에서도 우리 국민의 30% 이상이 국민소득 3만달러 달성의 가장 중요한 요소로 ''노사관계 선진화, 법질서 확립, 정치ㆍ사회적 성숙''이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했습니다.
이제는 정부ㆍ정치권이 솔선수범하고 엄정한 법집행을 통해 법치에 대한 신뢰를 회복해 나가는 작업이 필요합니다.
<기자스탠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