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택 2007 좋은 유권자 좋은 대통령 중앙일보·SBS·EAI·한국리서치 공동 표심 추적


12월 대선을 앞두고 언론사 처음으로 패널여론조사를 실시한 결과가 2일 나왔다. 패널조사는 동일 응답자를 대상으로 여러 차례 반복하는 것으로 의식의 변화를 추적하는 기법이다. 중앙일보.SBS.동아시아연구원(EAI).한국리서치가 공동으로 수행하는 이 패널조사는 대선 때까지 5회 더 실시될 예정이다. 패널여론조사는 경마식 보도에 머물렀던 기존 선거 판세 분석을 한 단계 높여 보다 정확하고 깊이 있는 정보를 독자에게 제공할 것이다.
여성
"여성은 여성을 찍지 않는다."여성은 남편과 동일하게 투표한다." 여성의 투표 행태에 대한 일반적 속설이다. 하지만 올해 여심(女心)의 흐름은 이와 다르다. 여성은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를, 남성은 이명박 전 서울시장을 더 선호한다. 박 전 대표의 평균 지지율은 22.2%다. 여성 응답자는 이보다 높은 25.2%가 지지 의사를 밝혔다. 반면 남성 응답자는 19.2%만 지지했다. 이 전 시장은 남성 응답자의 45.2%, 여성은 이보다 낮은 43.6%가 선호했다.
여성이 박 전 대표를 지지하는 양상은 세대별로 큰 차이가 있다. 30, 40대 여성의 23.3%가 박 전 대표를 지지했다. 같은 연령대 남성의 지지율은 절반 수준이다. 50대 이상에선 여성의 지지율이 오히려 남성의 지지율보다 밑돈다.
20~40대의 성별 지지도 차이는 본격적인 고등교육을 받은 이 세대 여성들이 "여성이 여성을 더 잘 대표한다"는 성(性) 인지적 정치의식을 형성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정치적 이슈에서도 성별 차이가 드러났다.
남성과 비교할 때 여성은 경쟁과 효율성보다 조화와 약자의 보호, 질서의 유지보다 관용을 더 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편하더라도 집회나 시위의 권리를 보장해야 한다"거나 "소득분배가 성장보다 중요하다"란 의견에 여성은 남성보다 높은 찬성률을 보인다. 특히 20~40대가 그렇다.
김민전 경희대학교 교수
세대
전통적으로 "386"세대(30대.80년대 학번.60년대 출생)는 범여권의 지지 기반이었다. 상대적으로 열린우리당 또는 민주노동당 지지가 많았다. 20~30대도 진보 성향을 보여 왔다. 이에 따라 지난 대선부터 세대별 선호 후보가 달라지는 "세대 투표" 양상이 뚜렷해졌다.
이번 대선 패널 조사에선 다른 조짐이 보인다. 386세대의 선택이 일반 국민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점이다. 44.9%가 한나라당 이명박 전 시장, 20.1%가 박근혜 전 대표를 지지했다. 과거와 달리 보수적 선택을 하는 셈이다.
"386 세대"가 가장 많은 소비 지출을 해야 하는 세대가 되면서 현실적으로 변모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이런 점을 감안하면 범여권이 전통적인 지지 세력을 재결집하는 게 쉽지 않을 수도 있다.
20~30대에도 변화 기미가 있다. 이들 중 스스로 보수라고 여긴 비율이 26%로 다른 세대(26.8~30.1%)와 크게 다르지 않다. 특히 20대는 30대보다 더 보수적인 선택을 했다. 열 명 중 네 명(41.2%)꼴로 한나라당을 가장 좋아하는 정당으로 꼽았다. 전 연령대의 한나라당 지지율은 42.2%다. 이 전 시장을 지지한다는 비율(46.6%)도 전 연령대의 평균치(44.4%)를 웃돌았다.
30대의 경우 한나라당을 좋아한다고 답한 비율이 32.6%, 이 전 시장을 지지한 비율이 42.8%로 20대보다는 낮았다. 두 세대 모두 지지도 2위 후보는 박 전 대표다.
임성학 서울시립대학교 교수
지역
1997년.2002년 대선에선 호남+충청 연대가 힘을 발휘했다. 올 대선에서도 동서 분할 구도(영남 대 호남+충청)를 꿈꾸는 정치 세력이 있다.
그러나 이번 대선 패널조사에서 "수도권 대 비수도권"이란 남북 분할 구도가 동서 구도를 대체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나라당 이명박 전 서울시장은 수도권에서 전국 평균 지지율(44.4%)을 훨씬 상회하는 지지(50.7%)를 받는다. 수도권은 역대 선거에서 박빙으로 분류되던 지역이다. 특히 서울(53.3%)의 경우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와의 지지율 격차가 세 배다. 정반대 현상이 박 전 대표에게서 나타나고 있다. 수도권과 호남을 제외한 비수도권 지역의 지지도(30.1%)가 평균(22.2%)을 상회한다. 특히 충청(28.2%)과 한나라당의 기반인 영남(30.5%)에서 강세다.
동서 분할 구도는 과거보다 현저히 약화된 것으로 조사됐다. 호남은 범여권 주자에 대한 선호가 강하지만 이 전 시장에 대한 지지도도 30%에 달한다. 충청권에선 한나라당 "빅2"의 지지율 합계가 60%를 넘는다. 충청권을 범여권의 지지 기반인 "서부 벨트"에 편입해야 한다는 주장은 현재로선 맞지 않는 셈이다.
두 가지 전망이 가능하다. 한나라당의 구태가 개혁되지 않는 상황에서 범여권의 강력한 주자가 부상하면 이 전 시장의 지지세가 크게 약화될 수 있다는 점과 현재 흐름이 지속되면 이 전 시장이 한나라당의 외연을 넓힐 수도 있다는 것이다.
김장수 고려대학교 교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