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개혁을…" 11%에 그쳐 ![]()
이 같은 결과는 현 정부가 정치개혁에 치중했으나 체감경기 회복 문제에선 낙제점을 기록했다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다.
응답자의 이념성향별로 보면 보수층(43.1%)이 진보층(32.9%)이나 중도층(31.2) 보다 경제성장 능력에 더 무게를 뒀다. 최근 대선주자들이 ‘박정희 끌어안기’에 공을 들이는 것도 이런 여론과 무관치 않은 것으로 풀이된다.
경제성장과 일자리 창출 능력에 대한 염원을 연령별로 보면 50대 이상(42.2%)에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40대(39.1%), 20대(30.9%) 순이었다. 반면 30대 응답자들은 빈부격차 완화와 복지증진 능력(33.5%)을 경제성장과 일자리창출 능력(30.0%)보다 더 중시해 주목된다. 지역적으로는 인천(44.3%), 충남(39.4%), 전남(39.8%) 지역 응답자들이 빈부 격차 완화와 복지 증진 능력을 최우선 요건으로 꼽았다.
농ㆍ임ㆍ어업 종사자의 55.6%와 강원지역 응답자의 33.5%는 사회갈등 해소와 국민통합 능력을 가장 중요한 덕목으로 지적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