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동의 국제정치 20년
이 책은 하영선 서울대학교 외교학부 교수가 지난 20년 동안 국내 주요 일간지 및 언론매체를 통해 발표한 칼럼과 대담 등을 엮은 것이다. 지난 20년은 국제정치사에 있어서 격동의 시기였다.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고 반 세기 동안 전 세계를 양분하며 이념을 중심으로 극한 대결을 벌였던 냉전이 종식되었다. 세계 곳곳에서 종족분쟁과 갈등을 경험하였고 중동의 긴장도 화염으로 타올랐다. 그 와중에 유럽은 단일통화권을 형성하는 거대한 통합의 발걸음을 내디디며, 역사의 새로운 실험으로 창의적 모델을 제시하였다. 미국은 유일 초강대국으로서 독점적 리더십을 행사했다. 2001년 오사마 빈 라덴이 이끄는 테러가 미국의 심장을 겨냥하였다. 9ㆍ11테러이후 테러와의 전쟁에 주력하던 미국은 20세기 대공황이래 최대의 금융위기를 맞이했으며, 그 여파는 전세계 경제를 강타했다.
격동의 한국외교 20년
격동의 세계 20년 동안 한국외교도 편할 수 없었다. 한국은 지난 20년을 지내오면서 수많은 외교적 어려움을 겪어야 하는 중에서도 이제 세계 무대에서 주요한 역할을 하는 중견국으로서의 입지를 확고히 해나가고 있다. 탈냉전의 20년을 지내는 동안 한반도는 여전히 분단의 냉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탈냉전의 화해의 무드는 한국의 북방정책으로 가시화되었다. 소련과 중국을 비롯한 동구권과 본격적인 외교관계를 수립하기 시작하였고 북한과의 유엔 동시 가입 또한 성사시켰다. 그것도 잠시, 북한의 핵개발이라는 난제를 겪으며 여전히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하고 있다. 김일성, 김정일 부자의 사망으로 3대 세습이라는 북한체제의 몰역사성을 경험하고 있으며, 천안함폭침사건과 연평도포격사건을 겪으며 여전히 풀리지 않는 한반도의 안보 불안과 긴장상황을 경험하고 있다. 주변 정세를 보아도 한국외교는 거대한 소용돌이의 중심에 있다. 세계경제위기 이후 상대적 후퇴를 경험하는 미국, 새롭게 떠오르고 있는 중국, 과거 미국을 넘보던 경제대국 일본의 추락, 극동의 중요성을 새롭게 판단하기 시작한 러시아 등이 긴장과 대립의 한반도를 둘러싸고 있다.
용미(用美), 변환, 복합 그물망 외교
하영선 교수는 한국외교에 대해 탈냉전 시기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이념과 명분이 아니라 국익과 실리에 기반한 냉철한 상황 판단과 철저한 정책적 대응을 주장하고 있다. 친미 대 반미의 대립이 아니라 한국외교에서 핵심적 강대국인 미국을 활용해야 한다는 용미, 냉전적 사고에서 벗어나 근대를 극복하고 21세기의 새로운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는 변환(transformation), 국제정치의 다양한 행위자, 다양한 이슈 영역에서 외교적 역량을 발휘하여 중층적으로 엮고 통합해야 한다는 복합 그물망(complex network) 외교, 이 세 가지는 지난 20년 국제정치와 한국외교를 읽는 주요 개념이다.
이 시대를 대표하는 국제정치학자의 식견과 통찰을 통해 지난 20년의 역사를 읽고 앞으로의 100년을 준비하는 지혜를 함께 하는 즐거움이 이 책을 읽는 독자들과 함께 할 것이다. 아직도 해결하지 못한 한국외교의 숙제, 그리고 지난 세기 동안 한국이 이룩해 온 자랑스러운 발자취, 이 두 가지의 변증법적 대화를 통해 우리는 새로운 세기의 주인공으로 우뚝 서기 위한 냉철한 인식과 새로운 상상력을 발휘해야 할 것이다.
하영선 국제정치 칼럼 1991-2011 上 1991년 - 2000년
하영선 국제정치 칼럼 1991-2011 下 2001년 - 2011년
독자들의 편의를 위하여 단행본의 원고를 일부 공개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