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브리핑 43호] 목차
테마2. 법신뢰 회복해야 민주주의, 신뢰 강해져
법치의 약화가 초래하는 결과
법치주의가 제대로 자리 잡지 못하면 작은 이익다툼도 전사회적 갈등이 되고 민주주의의 토대가 약화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법치주의가 제대로 작동해야 국가권력에 의한 자의적인 권력남용도 견제할 수 있으며 개인의 이해관계가 충돌할 때 제도적으로 해결할 통로가 생기게 된다. 법치가 제대로 작동하는 사회야말로 신뢰 수준이 높은 선진 사회이자 민주주의가 제도적으로 공고화된 사회라 할 수 있다.
법치에 대한 불신은 민주주의와 사회전반에 불신을 낳는다. 우선, 법을 지키는 것이 손해라고 보는 사람일수록 한국 민주주의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고 본다. 이처럼 법을 불신하는 사람 중에서는 한국 민주주의에 대해서 긍정적인 응답을 한 비율은 42.5%에 불과하지만 부정적인 응답을 한 비율이 57.5%로 더 많다. 반면 법에 대해 신뢰를 갖고 있는 응답자들 중에서는 한국 민주주의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응답한 비율이 56.0%로 많았다. 이들 중에서 민주주의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한 응답자는 44.0%에 불과하다[그림7].
마찬가지로 법에 대해 불신하는 사람은 사회에 대해서도 더 큰 불신을 갖게 된다. 법을 지키는 것이 손해라는 응답자 중에서는 41.4%만이 한국 사회를 전반적으로 믿을 수 있는 사회로 평가하고 있다. 반면 법을 잘 지키는 것이 손해가 아니라고 믿는 사람들 중 에서는 한국 사회를 신뢰할만하다고 평가한 사람이 56.0%나 된다[그림8].
[그림7] 법 불신여부가 한국 민주주의 평가에 미친 영향(%)
[그림8] 법 불신 여부가 사회 신뢰에 미치는 영향(%)
용산참사 및 국회폭력사건 과정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정부는 법치확립을 위한 정책드라이브를 강화하고 있다. 법치확립의 의지를 강하게 밝힌 대통령은 물론 경찰 및 검찰은 불법행위에 대한 엄단을 통해 법치주의의 확립을 꾀하고 있다. 법치주의의 회복을 위한 방법론으로서 법집행의 엄정성을 강조하고 있다. 민주주의 실현과 사회적 통합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할 때 법치주의에 대한 강조와 불법행위에 대한 근절의지는 두 번 강조할 필요가 없다.
그러나 이번 조사 결과는 현재 한국 법치주의의 위기는 기본적으로 정당성의 위기라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정당성의 위기 이면에는 힘 있고 돈 있는 집단은 법망에서 벗어나 있다는 불신, 설사 법망에 걸렸다 하더라도 유전무죄, 휠체어의 법칙이 적용된다는 냉소가 자리 잡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정당성은 엄정한 법집행을 강조한다고 저절로 얻을 수 있는 것이 아니다. 법은 공정하다는 기본적인 믿음이 국민들 사이에 확산될 때 법치주의의 정당성은 회복될 수 있다. 즉 엄정한 법 집행에 앞서 법의 공정성에 대한 믿음을 회복해야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