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I는 미래를 꿈꾸는 소중한 자산인 인턴들이 연구원에 대한 소속감과 연대감을 쌓을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하고, 교육적 인센티브를 제공하기 위해 월요인턴세미나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EAI는 인턴들이 본 인턴 세미나를 통해 좀 더 능동적이고 자율적인 모습으로 연구원 활동에 참여하고 학교 내에서 접할 수 없는 새로운 지식을 습득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합니다. 또한, 내부 커뮤니케이션의 증대, 네트워크 활성화 그리고 배움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연구원과 인턴들간의 장기적 관계 발전 형성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발표자

안현정, EAI 선임연구원


참석자

김태영, 가천대학교

박    건, 서울대학교
박규현, 연세대학교 국제대학원
안지혜, 동국대학교
우희랑, 고려대학교 국제대학원

조가희, 숙명여자대학교 국제관계대학원
최다은, University of Manchester
Elizabeth Burris, Georgetown University

 

 

 


 

내용정리

 

작성자

최다은, 대외협력팀 인턴 (University of Manchester)

 

이번 월요인턴세미나에서는 ‘웹 사이트의 이해’를 주제로 범위가 굉장히 넓은 웹 사이트에 대한 개념과 원리, 제작 절차, 사용용도, 웹 서버와 보안문제를 이해하기 쉽게 분석하고, 웹 사이트가 일상생활에 얼마나 많은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그 속에서 어떻게 또 다른 라이프 스타일을 형성해 나가는지 알아보았다. 강의는 크게 3개의 모바일 앱의 개념, 웹사이트 제작 절차, 웹 서버와 보안 문제로 나뉘어 전개되었다.

 

모바일 앱의 웹 사이트 이해는 네이티브 앱과 모바일 웹/앱의 의미 정의에서부터 시작된다. 1) 네이티브 앱: 운영체제별 SDK로 제작되며, 휴대폰에 권한을 얻어 다양한 동작을 할 수 있다. 2) 모바일웹/앱: HTML을 기반으로 하여 만들어지는 방식이 네이티브 앱과 다르며 웹은 휴대폰에 대한 권한이 없다.

 

스마트앱의 부가가치 현상을 반영하여 스마트폰앱 용어정리가 필요하다. 1) UI 디자인: 사용자의 입장을 고려한다. 2) GUI 디자인: 시각화 작업 3)인터렉션 디자인: 상호작용을 용이하게 하는 작업 4) UX; 사용자가 어떤 시스템, 제품, 서비스를 직, 간접적으로 이용하면서 느끼고 생각하게 되는 총체적 경험. (ex:카카오톡, 애플)

 

웹사이트는 도메인, 웹 및 서버 호스팅, 웹문서로 구성된다. 1) 도메인: 문자, 숫자, 하이픈의 조합으로 표현, 한글과 영문 도메인은 2-63자 까지, 2) 웹 및 서버 호스팅: 대용량의 고속 인터넷 전용 화선을 가진 전문 회사가 서버 공간을 임대해주거나 제공하는 서비스, 3) 웹문서: 일반적으로 전문업체에서 HTML, CSS 등 웹과 관련된 다양한 기술 등을 활용하여 제작한다. 제작 절차는 크게 두 가지 방법으로 나뉜다.

1) 사이트 기획, 디자인 & 코딩, 프로그래밍, 디버깅& 테스트, 사이트 완성

2) 사이트 기획, 코딩+디자인+ 프로그래밍, 디버깅 &테스트, 사이트 완성

위의 두 가지 제작 절차 방법들은 웹사이트의 성격에 따라서 선택되는 방법들이다. 최근 들어, 분야별로 프로그래머와 디자이너 등이 따로 나뉘어 많은 사람들이 투입되어 시간을 절약하기 위해 두 번째 방법이 많이 선택되는 추세이다.

 

디도스 공격, 국제 해킹 그룹의 등장: 어나니머스(anonymous), 네이트 정보 유출 사태 등으로 우리 일상의 또 다른 중요 관심사가 된 “웹 서버와 사이버 보안문제”를 심도 있게 살펴본다. 사이버 보안문제는 1) 악성코드, 2) 컴퓨터 바이러스, 3) 데이터베이스(DB) 정보유출 등 간단히 세 가지로 구분하고, 이들의 주된 타겟(target)은 웹페이지를 이루는 파일(웹문서)이며 데이터가 저장된 공간인 데이터베이스(DB)로 온라인상에서 이루어지는 모든 정보와 흔적이 저장되는 곳이다. 그래서 웹 서버의 보안조치는 항상 강화되고, 각 정부기관들을 비롯한 대·중소기업들, 포털 사이트 등에서 웹 서버 보안문제에 대해 주의 깊게 예의주시하고 있다. 최근의 다양한 보안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보안솔루션의 다양화와 편리성 역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ex:개인정보보호, 네트워크 보안, 모바일 보안, 바이러스 프로그램 ,엔드포인트 보안)

 

이번 강의를 통해 어렵게 느꼈던 웹 사이트의 용어부터 어떻게 실행되는지 등을 쉽게 이해하게 되었다. 또한 일상 속에서 웹 사이트가 얼마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영향을 미치는지 깨닫게 되었다. 웹 사이트는 일상을 편리하고, 효율적이게 바꾸고 새로운 라이프 스타일을 형성하고 있다. 하지만, 이에 상응하는 부작용의 심각성을 알고 정부 차원에서의 탄탄한 법적 대책 마련과 기업에서는 단순히 이익만을 도모하지 말고 고객의 개인정보 보안을 위한 윤리적 각성이 필수조건이라는 생각이 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