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새누리당 후보의 손쉬운 승리가 예상됐던 18대 대선이 막판에 또다시 ‘안철수 변수’로 판세가 요동치고 있다. 안철수 전 무소속 후보는 지난해 9월 서울시장 보궐선거 출마설이 나온 이후 대선후보로 이름을 올리며 ‘박근혜 대세론’을 허물었고, 올해 9월 말 대선 출마 선언 직후에도 지지율 선두에 오르며 판세를 뒤흔들었다. 하지만 지난 11월 23일 대선후보직을 일방적으로 사퇴한 바 있다. 안씨는 사퇴일로부터 13일 만인 12월 6일에는 문재인 민주통합당 후보를 지원하기로 전격 선언, 대선 정국은 막판에 한 치 앞을 내다보기 어려운 안갯속으로 빠져들었다. 안씨가 사퇴하기 이전에는 “문 후보와 안 전 후보의 단일화가 잡음 없이 이뤄질 경우 대선 막판에 박 후보의 열세가 확연해질 것”이란 전망을 내놓았던 전문가들이 많다. 이른바 경선에서 이긴 후보에게 꽃가루 세례가 쏟아지면서 지지율이 치솟는 ‘꽃가루 효과’가 야권 단일후보에게 영향을 줄 것이란 예측이었다. 그런 전망에는 2002년 대선에서 노무현·정몽준 후보 단일화 8일 전 갤럽조사에서 이회창 후보가 노무현 후보를 42.3% 대 38.3%로 앞섰다가 단일화 다음 날 조사에서 37.0% 대 43.5%로 뒤집힌 기억도 영향을 줬다. 하지만 안씨의 일방적 사퇴로 만들어진 후보 단일화는 10년 전 노·정 단일화와는 전혀 다른 판세를 만들었다. ‘안씨의 사퇴는 단일화의 실패’란 인식이 야권 지지층 사이에 확산되면서 ‘단일화 효과’가 반감(半減)됐기 때문이다. 신부동층 文 쪽으로? 안씨의 사퇴 다음 날인 11월 24일 조선일보·미디어리서치 조사에서 박 후보와 문 후보의 지지율은 43.5% 대 39.9%였다. 오차범위 내에서 박 후보가 앞섰다. 이전까지 안씨를 지지했던 지지층 중에서 문 후보 지지로 이동한 경우는 56.9%에 그쳤고, 박 후보 지지로 이동은 20.5%, 부동층으로 바뀐 경우는 21.3%였다. “안씨가 아니라면 누구도 찍지 않겠다”는 안씨의 핵심 지지층인 ‘신(新)부동층’은 전체 유권자 기준으로는 7% 정도로 측정됐는데, 이들이 문 후보 쪽으로 움직이지 않을 경우엔 박 후보의 우세가 굳어질 가능성이 있었다. 동아시아연구원과 한국리서치의 11월 25~27일 조사에서 ‘신부동층’의 다수인 64.0%가 ‘박 후보와 문 후보 모두 대통령감이 아니다’라고 답했고, 대통령감으로 ‘문 후보가 적합하다’는 17.7%, ‘박 후보가 적합하다’는 13.3%에 그쳤다. 박 후보와 문 후보 누구도 마음에 차지 않는 안씨의 핵심 지지층은 안씨가 적극적으로 선거에 개입하기 전에는 대선 정국을 그냥 관망할 가능성이 크다는 조사였다. 11월 27일 공식 선거운동 시작 이후에도 각 언론의 여론조사에서 박 후보의 유리한 흐름은 멈추지 않았다. 조선일보·미디어리서치가 12월 5일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도 박 후보 44.3%, 문 후보 38.8%로 두 후보의 지지율 차이는 10일 전 조사의 3.6%포인트에서 5.5%포인트로 더 벌어졌다. 하지만 문 후보 측은 안씨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인해 부동층이 대거 흡수되면서 막판 역전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로 안씨가 문 후보에 대한 전격 지원을 발표하기 하루 전인 지난 12월 5일 실시한 미디어리서치 조사에서 ‘만약 안 전 후보가 문 후보의 선거운동을 적극 지원할 경우 누구를 지지하겠는가’라며 가상 상황을 전제로 물어본 결과, 문 후보가 박 후보를 43.7% 대 42.9%로 오차범위 내에서 0.8%포인트 앞섰다. 안씨의 적극 지원이 없을 경우와 비교하면 문 후보는 4.9%포인트 상승, 박 후보는 1.4%포인트 하락하면서 판세가 급변할 것이란 예측이었다. 가상 상황을 전제로 측정한 것이지만 ‘안철수 변수’의 힘은 6%포인트가량인 것으로 분석됐다. 득표율보다 투표율 예측이 더 어려워
![]() 올해 대선이 다시 박빙의 승부가 펼쳐질 것으로 전망되면서 ‘투표율’이 또다시 마지막 변수로 부각되고 있다. 초접전의 승부를 겨루는 선거는 결국 세대별 투표율이 승부를 가를 공산이 크다. 투표율과 관련해선 여야가 ‘동상이몽(同床異夢)’을 꾸고 있다. 박 후보 측은 전체 유권자가 빠짐없이 투표를 한다는 전제로 얻어진 여론조사 수치가 박빙이라면, 전체 투표율이 2002년 대선과 비슷한 70%를 넘어도 승리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지지 기반인 고연령층이 20·30대보다 반드시 투표율이 높을 것이란 계산 때문이다. 이와는 정반대로 문 후보 측은 지난 4월 총선은 정당투표에서 새누리당 등 범보수 진영과 민주당 등 범진보 진영의 총 득표율이 각각 48%로 같았지만, 대선은 높은 투표율 때문에 승리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투표율이 54%였던 지난 총선에 비해 대선 투표율이 70% 정도로 상승할 경우 지지기반인 20·30대의 투표율 상승 여력이 고연령층보다 더 클 것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후보별 득표율 예측보다 더 어려운 게 투표율 예측”이라며 “투표율에 따른 여야의 유·불리를 판단하는 것은 쉽지 않다”고 말한다. 미디어리서치 이양훈 부장은 “안 전 후보의 재등장으로 그를 지지하던 20·30대의 투표 동기가 높아질 가능성이 있지만, 위기를 느낀 고연령 보수층의 결집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