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장,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 문재인 민주통합당 상임고문(왼쪽부터) 4·11 총선 이후 각종 여론조사에서 박근혜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에 대한 대선 지지율 상승세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반면 야권의 유력 대선 주자로 꼽히는 안철수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과 문재인 민주통합당 상임고문의 지지율은 상대적으로 주춤하고 있다. 박 위원장이 이들과의 격차를 벌려나가는 모양새다. 4·11 총선을 기점으로 연말 대선 정국에서 치열한 맞대결을 펼칠 가능성이 높은 유력 대선 주자들의 지지율이 대조적인 모습을 보이면서 그 배경과 향후 변동 추이에도 관심이 모아진다. SBS와 중앙일보, 동아시아연구원이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총선 직후인 지난 12일부터 나흘 동안 실시한 패널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박 위원장은 대선 다자 구도에서 38.8%의 지지율을 기록했다. 총선 전인 지난달 30일에서 1일 사이 동일 패널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보다 7%P가 상승한 수치다. 반면 안 원장은 24.4%의 지지율을 기록해 총선 전보다 3.2%P 오르는데 그쳤다. 문 상임고문은 14.3%로 총선 전에 비해 0.5%P가 낮아졌다. 매일경제신문과 MBN이 여론조사전문기관 한길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3~14일 실시한 여론조사 양자대결에서 박 위원장은 46.9%로 안 원장(38.8%) 보다 8.1%P 앞섰다. 지난달 23~24일 실시된 같은 조사에서 안 원장이 39.1%로 박 위원장(36.6%)을 앞섰지만 총선 정국에서 안 원장의 지지율이 제자리 걸음을 하는 동안 박 위원장의 지지율은 10%P 이상 상승한 것이다. 박 위원장은 문 상임고문의 양자 대결에서 역시 50.8%의 지지율을 기록하며 32.2%에 그친 문 상임고문에 앞서 있다. 이같은 조사 결과는 박 위원장이 4·11 총선을 진두지휘하며 새누리당의 총선 승리를 이끈데 대한 효과로 풀이된다. 윤희웅 한국사회여론연구소 조사분석실장은 18일 "대중들은 선거 기여도를 통해 대선 후보를 평가하는 경향이 있는데 박 위원장이 새누리당 총선 승리에 결정적인 기여를 했고, 선거 기간 동안 집중적인 조명을 받아 온 점이 여론에 영향을 미친 것"이라고 분석했다. 윤 조사분석실장은 "여권에 여러 대선 주자들이 있지만 이번 선거를 통해 현실적으로 박 위원장외에 대안이 없다는 인식들이 확산되면서 지지층이 박 위원장에게로 결집했을 것"이라고 풀이했다. 박 위원장이 총선을 통해 보수층을 결집시켰다는 것이다. 홍형식 한길리서치 소장 역시 "새누리당이 예상을 깨고 152석을 달성하면서 국민들은 박 위원장에 대한 평가를 다시 할 수 밖에 없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총선 이후 이같이 상승한 박 위원장의 지지율이 본격적인 대선 국면에 접어들어서까지 의미를 가질 만한 수치는 되지 못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총선 국면에서 야권의 유력 대항마인 안 원장과 문 상임고문의 역할이 미미한데 따른 반대 급부로 박 위원장의 지지율이 상승한 측면이 있고, 야권 대선 주자들의 행보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면 '총선 효과'는 사라질 것이라는 관측이다. 홍 소장은 "여론은 고정불변이 아니다"며 "총선 이후 정치적·정책적인 평가와 개인의 처신 등에 따라 하루 또는 일주일 사이에도 지지율이 5%P 이상 오르내릴 수 있다"고 설명했다. 홍 소장은 "현재 박 위원장의 지지율은 고점 수준으로 보인다"며 "총선 효과가 소멸되고 한달 정도 지나면 현재 지지율 보다는 떨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윤 조사분석실장 역시 "총선 정국에서 박 위원장의 지지율에 영향을 미칠 만한 야당 주자들의 행보가 없었다"며 "야권에서 대선 주자들이 부각될 경우 박 위원장의 지지율이 지금보다 추가로 오르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