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일본 방문 관광객 증가, 한국인이 28%로 1위

-동아시아연구원 설문…대일 비호감도는 최저

한국인 일본에 호감, 관련 조사 이래 10명 중 4명으로 최고의 호감도를 보였다.

19일 한국 민간 싱크탱크인 동아시아연구원(EAI)이 '제12회 한일 국민 상호인식 조사'에서 한국 측 결과를 발표했다.

이번 한일 국민 상호인식 조사는 지난달 26일부터 28일까지 전국 성인 남녀 1006명을 대상으로 실시했다.

설문에 참여한 한국인 중 일본에 대한 인상이 '좋다'거나 '대체로 좋다'는 응답자는 41.7%로 지난해 조사한 28.9%보다 12.8%포인트(p)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나쁜 인상' 또는 '대체로 나쁜 인상'을 갖고 있다고 답한 한국인 비율은 42.7%로 작년 53.3%보다 10%p 이상 낮아졌다.

지난 2013년 첫 조사가 이뤄진 이후 ‘대일 호감도는 최고, 비호감도는 최저’라고 연구원 측은 밝혔다.

일본에 호감을 느끼는 가장 큰 이유는 '친절하고 성실한 국민성'이 53.6%를 차지했고 '매력적인 식문화와 쇼핑'이 30.0%로 그 뒤를 이었다.

현재 한일 관계에 대한 인식은 '보통'이라는 응답이 50.9%로 가장 많았으며 일본인과 교류할 기회가 많을수록 좋은 인상을 갖게 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일 관계 개선을 위한 한국 정부의 정책과 태도에 대해서는 부정적 평가(49.6%)가 긍정적 평가(34.5%)를 넘어섰다.

특히 응답자의 59.7%가 일제강점기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인 사도광산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과정에서의 대응에 부정적 평가를 내놨다.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 배상 문제와 관련한 '제3자 대위변제'에 대해서도 부정적 여론(39.7%)이 긍정적 여론(29.5%)보다 우세했다.

한편 동아시아연구원과 일본 비영리 싱크탱크 겐론(NPO)은 해마다 양국에서 공동 조사를 진행해 왔으나 올해는 조사 내용과 일시에 합의를 보지 못해 한국 측 단독으로 조사를 실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