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경ㆍ동아시아硏 공동조사 노前대통령 서거후 국민통합 최우선 과제로

 

국민들은 최우선 국정 과제로 경제보다는 국민통합을 꼽고 있으며 자주 외교보다는 한ㆍ미 동맹 강화에 무게를 실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또 실효성 논란에도 불구하고 햇볕정책을 지지하는 의견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 같은 국민의식 변화는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와 북핵 2차 실험이라는 메가톤급 사건이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매일경제신문과 동아시아연구원이 공동 기획해 한국리서치가 지난 5일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국민들은 최우선 국정 과제로 국민통합(28.3%)을 제시했다.

 

이번 조사는 무작위로 추출한 전국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600명을 대상으로 실시했고 오차 범위는 95% 신뢰수준에 ±4%다.

 

정한울 동아시아연구원 부소장은 "국민통합을 최우선 순위로 선택한 응답은 3위에서 1위로 뛰어올랐다"며 "노 전 대통령 서거 후 진보와 보수 진영 간 갈등과 분열 조짐에 대한 염려가 커지면서 국민 관심이 정치 안정과 통합으로 이동한 결과"라고 해석했다.

 

남북관계 개선을 최우선 과제로 선택한 응답도 큰 폭 늘었다. 지난 2월 조사에선 7위(4.2%)였지만 이번에는 4위(7.6%)를 기록해 북핵 2차 실험 이후 고조되고 있는 남북 대치 상황에 대한 염려를 반영했다.

 

안보 불안감 때문에 자주 외교보다는 한ㆍ미 동맹을 강화해야 한다는 의견이 우세했다. 장거리 로켓발사가 예정됐던 2월 조사에서 한ㆍ미 동맹을 강화해야 한다는 입장이 자주 외교 지지에 비해 13.8%포인트 많았지만 이번 조사에선 격차가 20.8%포인트로 벌어졌다.

 

 

한편 동맹 강화와 자주 외교 사이 중도적 입장을 취해야 한다는 의견은 2월 25.9%에서 40.9%로 늘었다.

 

아울러 `햇볕정책`으로 표현되는 대북포용정책을 지지하는 의견이 많았다. 특히 이 대통령 지지층에서도 햇볕정책 기조가 유지ㆍ확대돼야 한다는 의견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 대통령 지지층 가운데 64.7%가 대북포용정책 유지ㆍ확대 의견을 밝힌 반면 축소ㆍ중단은 34.7%에 그쳤다.

 

정 부소장은 "이번 결과로 위기 상황일수록 남북 간 교류 관계를 중시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며 "개성공단을 비롯한 남북 교류가 경색되면 현 정부의 정치적 부담이 심각해질 수 있다는 점도 고려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한편 이 대통령과 한나라당 지지율은 하락세를 면치 못했다. 이 대통령 지지율은 지난 2월 38.5%→3월 34.7%→4월 34.0%→5월 23일 32.4%→6월 5일 28.5%로 하락세를 지속하고 있다.

 

정당별로는 지지하는 정당이 없는 무당파(41.6%)가 급증한 가운데 민주당(22.7%)이 한나라당(22.3%)을 앞선 것으로 조사됐다.